웹 표준이란?
웹 표준이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웹페이지가 동일하게 보이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웹 페이지 제작 기법을 담고있습니다.
장점
1. 유지 보수의 용이성
2. 웹 호환성 확보
3. 검색 효율성 증대
4. 웹 접근성 향상
웹 접근성이란?
웹 접근성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뜻합니다.
웹 접근성 실태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수준은 높은 정보화 수준에도 불구하고 높지 않습니다. 2021년 기준, 일반 국민의 정보화 수준을 100이라고 할 때, 장애인,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의 정보화 지수는 75.4점이었고, 우리나라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60.8점이었습니다.
웹 접근성을 갖추면 얻을 수 있는 효과
1. 사용자층 확대
웹 접근성을 확보하면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 소외 계층도 웹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만큼 사이트의 이용자를 늘릴 수 있고,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웹 접근성 향상을 통해 매출이 증가한 외국 쇼핑몰 사례도 있으며,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노년층의 매출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 다양한 환경 지원
앞서 이야기 했듯 정보 소외 계층이 아니더라도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운전 중이라 화면을 보기 어렵거나,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등이 있습니다.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면 다양한 환경, 다양한 기기에서의 웹 사이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서비스의 사용 범위가 확대됩니다. 자연스럽게 서비스의 이용자 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사회적 이미지 향상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있는 상황에서, 웹 접근성 확보를 통해 기업이 정보 소외 계층을 위한 사회 공헌 및 복지 향상에 힘쓰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가 향상되면 그만큼 이용자 수의 증가는 물론 충성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늘어나게 됩니다.
앞서 말했듯, 국내에서는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고,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가능하다면 정보의 평등, 그 외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을 생각하여 웹 접근성을 갖추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어지는 콘텐츠에서는 웹 접근성을 갖추기 위해서 고려해야하는 요소들과,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학습하겠습니다.
이번에 스크린리더라는 앱을 사용하며 들어보니 불편함을 느껴보고 시멘틱요소와 alt, aria-label...등 잘 써야 모두가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개발을 할때에는 앞으로 소비자들의 입장도 생각하며 만들어야 겠다고 느꼈습니다!
'코드스테이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트가 번들링이 필요한 이유 (0) | 2022.09.27 |
---|---|
간단한 웹앱 번들링 사용 (2) | 2022.09.26 |
REDUX 데이터 흐름, FLUX 패턴 (2) | 2022.09.01 |
UI/UX 분석과 개선(클론) (0) | 2022.08.25 |
UI/UX (0)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