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of 연산자 사용법

typeof 값;
typeof 연산자 다음에 타입을 확인하고자 하는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이게 뭔소리지? 라고 하시겠지만 쉽게 예제를 들어보겠습니다.

 

 

예를 들면 

let number = 2;를 선언하면 number의 타입을 확인 하고 싶으면

typeof number;를 치면 number의 타입이 나온다

 

첫번쨰 예시

 

 

혹시 이해못하실 것을 대비해 두번째 예시 드가자~~~!

 

두번째 예시

 

 

자 여기를 보면 human이라는 변수를 선언했습니다.

human에 "한승진"이라는 이름을 선언했는데 이 human의 타입이 궁금합니다.

그러면 human 앞에 typeof를 쓰면!!! 문자열 string이 나옵니다.

 

참고로 타입에는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이 있습니다!

string은 문자열 예) 이름, 사물 등등 명사같은 느낌입니다.

 

 

 

number는 숫자 예) age = 24처럼 숫자를 의미합니다!

 

 

boolean은 참/거짓  예) age에 24라는 숫자를 대입했는데 27보다 클수는 없죠! 거짓이니 false가 나왔어요!

 

undefined는 변수가 선언되었지만 값이 없는 상태입니다.

 

그럼 저는 이만!!

 

한줄요약 : typeof뒤에 연산자를 쓰면 연산자의 타입을 알수있다.

+ Recent posts